#!/bin/bash# 삭제할 파일 경로와 로그 파일 경로 설정TARGET_DIR="/oradata/BACKUP/DATA" # 삭제할 파일들이 있는 디렉터리LOG_DIR="/oradata/BACKUP/log/archive_log" # 로그 파일이 저장될 디렉터리# 현재 날짜 기준으로 13개월 전 날짜 계산DATE_THRESHOLD=$(date -d "13 month ago" +%Y%m%d)CURRENT_DATE=$(date '+%Y%m%d')# 일자별 로그 파일 생성LOG_FILE="$LOG_DIR/${CURRENT_DATE}_ARCHIVE_DELETE.log"# 로그 파일에 시작 시간 기록echo "=================================" >> $LOG_FI..
GUI를 통해 Ctrl+C,V를 이용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스케줄러 등록하여 백업해야하는 상황이 있다. 또한, GUI의 경우 작은 파일들은 문제가 없지만 용량이 큰 파일의 경우 파일 사이즈를 계산하는데 너무 많은 연산을 수행하기에 연산을 줄일 필요가 있다. copy 명령어 - cmd 창에서 파일을 복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로 파일만 복사하고 폴더는 복사하지 않는다. C:\Users\user>copy /? 하나 이상의 파일을 다른 위치로 복사합니다. COPY [/D] [/V] [/N] [/Y | /-Y] [/Z] [/L] [/A | /B ] 원본 [/A | /B] [+ 원본 [/A | /B] [+ ...]] [대상 [/A | /B]] 원본 복사할 파일을 지정합니다. /A ASCII 텍스트 파일임을 ..
포트 포워딩이란? - 특정 port로 들어오는 패킷을 다른 port로 바꿔서 재전송해주는 기능으로, 일종의 터널링에 해당한다. 이를 활용하면, 포트 번호에 따라 서로 다른 Host도 연결시켜줄 수 있고,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내부에 네트워크 에 있는 host와의 중계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포트 포워딩 설정하기 C:\Windows\system32>netsh interface portproxy add v4tov4 \ listenport=8022 \ listenaddress=192.168.10.50 \ connectport=22 \ connectaddress=192.168.56.111 ※ why? 192.168.10.50 인가 - 포트포워딩을 통해 8022로 유입되는 패킷은 22로 변환하여 1..
1. crontab 이란 배치Batch처럼 특정 시간에 정기적으로 ShellScript나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기 위한 Crontab 시간 설정을 정리 2. crontab description ※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공백(space)으로 5개 값을 구분하여 설정한다. 1 11 3 * * 분 시 일 월 요일 쉘스크립트경로 ※ 1번째 분(minute)을 의미, 몇 분에 실행 할 것인지 설정한다. ex) 1 11 3 * * XX일 XX시 '01분'에 실행 *을 설정할 경우, 매분(1분 마다) 실행을 의미 ※ 2번째 시간(hour)을 의미, 몇 시에 실행 할 것인지 설정한다. ex) 1 11 3 * * XX일 '11시' 01분에 실행 *을 설정할 경우, 매시간(1시간 마다) 실행을 의미 ※ 3번째 일(day ..
☎ 스크립트 내용 오라클 Listener 프로세스 상태 확인하여 실행중이면 running 기록, stop되어 있으면 start 후 상태 확인 스크립트 1. 스크립트 내용 #!/bin/bash #LISTENER=/ora_engine/product/11.2.0.4/db_1/bin/lsnrctl LOG_FILE=/home/ora11g/test/listener_check.log check=`ps -ef | grep 'tnslsnr' | sed -n '1p' | awk '{print $8}'` DATE=`date +%Y-%m-%d_%H:%M:%S` if [[ "$check" == *tns* ]]; then echo "----------------------------------------" >> $LOG_FILE..
#1. 커널 부팅 순서 변경 1. 현재 적용된 커널 버전 확인 명령어 두 가지 방법으로 현재 커널 버전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root@ol79rac1 ~]# uname -r 3.10.0-1062.el7.x86_64 [root@ol79rac1 ~]# grub2-editenv list saved_entry=Oracle Linux Server (5.4.17-2011.6.2.el7uek.x86_64 with Unbreakable Enterprise Kernel) 7.9 2. 적용할 수 있는 커널 리스트 확인 명령어 [root@ol79rac1 ~]# grep ^menuentry /boot/grub2/grub.cfg | cut -d "'" -f2 Oracle Linux Server (5.4.17-2011.6...
구축 환경 - OS : Centos 7.9 - 가상 소프트웨어 : Virtual Box - 리눅스서버 : 192.168.56.10 - 윈도우서버 : 125.141.76.147 Samba ★Samba [SMB]에 대한 설명 1. Window서버와 LInux/Unix 서버 간의 파일 공유를 위해서 개발된 프로토콜 2. Linux에서 Window 또는 Window에서 Linux로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일 때 사용 3. 즉 SMB는 네트워크 상 존재하는 노드들 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Samba 설치 [root@tiberovm ~]# yum install -y samba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langpacks Loading mirror spee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