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ol 파일명 // ex) /user/test/a.txt -- spool 관련 명령어 . . . ex) set echo off; ....명령 구문..... // 쿼리 또는 @쿼리파일명 ex) /user/test/a.sql spool off spool은 명령들을 일괄로 처리해 주는 명령어 이다. spool 명령에 파일명을 파라미터로 지정하면 spool에서 실행된 모든 명령 들이 파일로 저장된다. spool 관련 명령어 set heading off : 헤더가 표시되지 않고 데이터만 표시한다. set pagesize 0 : 기본값은 14이며 공백을 없애기 위해 0으로 세팅, pagesize가 0이어도 컬럼명이 출력되지 않는다. 50000 (max) set echo off : 명령이 표시되지 않게 off한다..
#1. 커널 부팅 순서 변경 1. 현재 적용된 커널 버전 확인 명령어 두 가지 방법으로 현재 커널 버전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root@ol79rac1 ~]# uname -r 3.10.0-1062.el7.x86_64 [root@ol79rac1 ~]# grub2-editenv list saved_entry=Oracle Linux Server (5.4.17-2011.6.2.el7uek.x86_64 with Unbreakable Enterprise Kernel) 7.9 2. 적용할 수 있는 커널 리스트 확인 명령어 [root@ol79rac1 ~]# grep ^menuentry /boot/grub2/grub.cfg | cut -d "'" -f2 Oracle Linux Server (5.4.17-2011.6...
위 분석 방법은 정확한 내용이 아닌 테스트를 통해 개념정리입니다. 테스트 환경 - OS : Centos 7.9 - DB : Oracle 11.2.0.4 테스트 시나리오 enq Tx - row lock entention 발생시킴 dba_objects 2개 이상 count로 조회하여 강제 I/O 발생 oradebug로 trace 로그 분석 => oradebug는 경우에 i/o를 많이 잡아먹기때문에 DB가 멈출수 있어 잦은 발생보다 필요로할때 추출하는 것이 제일 best oradebug commands SQL> oradebug help HELP [command] Describe one or all commands SETMYPID Debug current process SETOSPID Set OS pid of ..
Datafile 이동 작업 - 사용중일 때 절대 이동시키면 안된다. - 신규 디스크로 이동시키는 작업 때 사용 - 테이블 스페이스 오프라인 후 이동 - 테이블 스페이스 오프라인이 안 될경우 DB 종료 후 마운트 상태에서 작업해야한다. CASE A. 오프라인(Offline) 되는 테이블 스페이스의 경우 작업 과정 1. Tablespace Offline 2. 데이터 파일 옮길 대상 위치로 복사 3. Controlfile 내에 파일 위치 변경 4. Tablespace Online CASE B. 오프라인(Offline) 안되는 테이블 스페이스의 경우 작업 과정 SYSTEM 테이블스페이스, UNDO 테이블 스페이스, DEFAULT TEMPORARY 테이블 스페이스 1. DB shutdown 2. DB Mount ..
테스트환경 OS Centos 7.9 (Virtual Box 7.0) DB 11.2.0.4 수동설정이유 > netca 구동시, 메모리 주소값을 찾지 못하는 에러가 발생하여 vm문제가 있어 수동으로 설치 진행 NETMGR [ora11g@localhost ~]$ netmgr 1. 로컬 리스너 선택 후 + 버튼을 통해 추가 2. 사용할 리스너 이름 지정 (LISTENER => DB11G) 3. 수신중인 위치(Listening Locations)로 선택 후 주소 추가 - Host이름과 포트 번호를 지정해주고 프로토콜 TCP/IP로 설정 4. Database Service - 전역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SID, Oracle 홈 디렉토리 지정 - Global Database Name : SID와 동일하나 다를 수도 있..
구축 환경 - OS : Centos 7.9 - 가상 소프트웨어 : Virtual Box - 리눅스서버 : 192.168.56.10 - 윈도우서버 : 125.141.76.147 Samba ★Samba [SMB]에 대한 설명 1. Window서버와 LInux/Unix 서버 간의 파일 공유를 위해서 개발된 프로토콜 2. Linux에서 Window 또는 Window에서 Linux로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일 때 사용 3. 즉 SMB는 네트워크 상 존재하는 노드들 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Samba 설치 [root@tiberovm ~]# yum install -y samba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langpacks Loading mirror speeds ..